<N4-i>
| 일시 | 2025년 11월 1일(토) 18:00 |
| 장소 | 한국천문연구원 KVN서울대평창전파천문대(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241-99) |
| 아티스트 | 노디 Noddy Woo @noddy_woo 오혜진 Hezin O @ohezin 이중현 Joonghyun Lee @joonghyun_jawohl 한지수 Jisu Han @zeeeexoo 신예슬 Yeasul Shin @shinyeasul |
| 주최 | (주)케이아츠크리에이티브 @karts.village.official |
| 후원 | 평창군청 @pyeongchanggun |
‘N4-i’는 네 개의 안테나로 이루어진 관측 시스템입니다. 맑고 차가운 공기가 흐르는 평창의 고지대에서, 네 명의 아티스트는 어딘가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를 기다리고, 보내고, 다시 되돌려받습니다. 깜깜한 하늘로 올려보낸 신호에는 미지의 영역에 가닿으려 하는 인간의 몸짓이, 다시 우리에게 되돌아온 소리에는 우주로부터 들어온 알 수 없는 노이즈가 가득합니다.
‘N4-i’는 명확히 조준해야만 들을 수 있는 소리, 서로 간섭하며 방향을 잃어버리는 소리, 불분명한 데이터 덩어리들로 이루어진 공연입니다. 한 시간가량 각자의 안테나를 가동시킬 아티스트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신호를 내보내고, 때론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더 먼 곳으로 향하는 길을 찾아갑니다. 음향 덩어리 속에서 정보를 찾고 침묵 또한 하나의 신호로 받아들여야 하는 이곳에서, 우리는 소리로 어딘가와의 연결을 시도해봅니다.
※ RSVP 신청링크 : https://forms.gle/FNLdZCjHe9nYKmnu7
※ 본 공연은 야외공연이며, 별도의 좌석이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개인 캠핑의자 지참 가능)
※ 개인 관람객 분들은 ‘자차’로 직접 공연장까지 오셔야 합니다.
※ [잠실 – 평창] 무료 셔틀버스(44인승, 1대) 운영합니다. 다양한 관객분들이 참여하실 수 있도록 ‘1인 = 1좌석’ 신청만 가능하며, 아래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노쇼’로 인한 좌석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꼭 관람하실 분들만’ 신청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신청자 선착순 마감)
※ 잠실 셔틀버스 탑승 위치는 예약 마감 후 개별 안내 드리겠습니다.
※ <미래음악: 클래식랩 융합 레지던시>는 음악·문학·무용·미디어·시각예술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협업하며 장르의 경계를 넘어 클래식의 새로운 미래를 실험하는 레지던시 프로그램기반의 공연 쇼케이스 창작 프로젝트입니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총 세 시즌 레지던시 운영 / 세 개의 쇼케이스를 창작하고 선보일 예정입니다.
✔ 아티스트 _ ARTISTS
노디 Noddy Woo
노디는 전자음악가이자 작곡가,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아날로그 방식의 전자악기와 사운드 합성을 탐구하며, 제한된 시스템 안에서 변화와 지속의 균형을 실험해 왔다. 실시간으로 변조되는 사운드 조각들을 활용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하고 있으며, 무용·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들과 협업하며 공연과 사운드 기반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2025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부문 선정작 <무색무취> 음악
2023 탠저린콜렉티브 전시 <춤에 관한 노래는 적어도 9개는 필요하지> 음악감독
2022 국립현대무용단 ‘무용×기술 융합프로젝트’ Part 1<넌댄스 댄스> 음악감독
2021 국립현대미술관 ‘모두를 위한 미술관, 개를 위한 미술관’ 퍼포먼스〈신체풍경〉음악
실험/전자음악 공연 시리즈 및 아티스트 콜렉티브 ‘모듈라서울’ 공동기획
오혜진 Hezin O
오혜진은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시각 언어를 매개 삼아 주변을 관찰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그래픽 디자인을 통한 읽기와 쓰기에 관해 생각하고 있다. 여기서 읽고 쓴다는 것은 텍스트 뿐 아니라 이미지, 현상, 구조, 미디어, 사변적 상상과 같은 것을 아우른다.
2025 Jury member of award 360°, 중국
2025 Venice Architecture Biennale catalog design, 한국
2024 Art director of Domino press, 한국
2024 Best Book Design from the Republic of Korea, 한국
2024 POST/NO/BILLS #5 BHLNTTTX, Stedelijk Museum Amsterdam, 네덜란드
2023 젊은모색 2023,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이중현 Joonghyun Lee
이중현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음악가이다. 신체적이지만 다분히 청각중심적인 음악을 꿈꾸고 있지만, 동시에 음악외적인 개념들을 어떻게 하면 정리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방식으로, 그리고 어떻게 하면 말이 되지 않도록 음악에 녹여낼 수 있을 지를 고민하고 있다.
2025 루체른 페스티벌 아카데미 참가 및 작품 발표
2025 예술의전당 국제음악제 신작위촉
2025 Ensemble TIMF 위촉
2025 제39회 음악저널 콩쿠르 작곡부문 예선심사위원
2024 제 52회 범음악제 앙상블 거리 위촉
2024 박다영 주관 “차원의 노래” 프로젝트 참여 작곡가
2024 경기시나위 “12작곡가” 공연 위촉
루체른 페스티벌(스위스), RESIS Festival(스페인), SNMF(대한민국), 범음악제(대한민국) 등 다양한 국제 음악제에서 연주
Ensemble Intercontemporain, Arditti Quartet, IEMA ensemble, Ensemble Modern, Ensemble Eins, 화담 앙상블 등과 협업
현) the sweatshop collective 멤버, Project Ensemble O 소속 작곡가
한지수 Jisu Han
한지수는 작곡가, 퍼포머, 기획자로, 전통 관악기 ‘생황’을 중심으로 전통과 현대, 동아시아의 음악적 맥락을 잇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그는 전통을 고정된 것이 아니라 흐르고 변하는 것으로 바라보며, 물리적 공간과 소리 공간, 신체와 사운드, 스코어와 즉흥을 넘나들며 청취와 공연의 방식을 탐구한다. 그의 활동은 공연, 전시, 학술 심포지움을 넘나들며 이어지고 있으며, 현재는 아시아 전통악기 교류와 실험을 확장하는 플랫폼〈생황방앗간〉을 운영하고 있다.
생황방앗간 디렉터 since 2019
2025 Philharmonie de Paris, Musée de la musique (FR) — 한지수류 생황산조 작품 소장
2024, 2025 공명하는 공간 시리즈 기획 제작
2024 PGVIM Symposium (TH) — Paper Presentation : Saenghwang Sanjo
2023 Immersive Sound Concert: MOMOM 몸맘 기획 제작
2023 Tonmeistertagung (DE) — 3D Audio Production Competition in Ambisonics 금상
2021 생황방앗간: 생황산조, 대안공간루프
2021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차 시리즈 — 양혜규 작가 전시 연계 퍼포먼스
2020 문화유산방문캠페인 Korea in Fashion 작곡 및 실연
2020 서울시립미술관 아트인큐베이터 Score Game 참여 작가, 퍼포먼스
✔ 프로듀서 _ PRODUCER
신예슬 Yeasul Shin
비평가, 헤테로포니 동인. 음악학을 공부했고 동시대 음악을 구성하는 여러 전통에 대한 질문을 다룬다.『음악의 사물들』을 썼고 종종 기획자, 드라마터그, 편집자로 일한다.
2025 문예지《자음과모음》편집위원
2024-2025 ACC 아시아문화전당 강석희 아카이브 DB 구축
2024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서초 개관전시〈상상의 악기 박물관〉기획
2023 MMCA 서울〈앰비언트 음악이라는 장소: 아나 록산느〉퍼포먼스, 〈블루 부처의 허밍〉프로그램 협력 기획
2022-2025 워크룸프레스 악보 총서 「악보들」 공동 기획/집필
